자료구조 및 알고리즘/JavaScript Practice

JS Practice) 프로그래머스 : 캐릭터의 좌표

Ryomi 2023. 4. 4. 09:31
728x90
반응형

 

 

캐릭터의 좌표

문제설명 :

머쓱이는 RPG게임을 하고 있습니다. 게임에는 up, down, left, right 방향키가 있으며 각 키를 누르면 위, 아래, 왼쪽, 오른쪽으로 한 칸씩 이동합니다. 예를 들어 [0,0]에서 up을 누른다면 캐릭터의 좌표는 [0, 1], down을 누른다면 [0, -1], left를 누른다면 [-1, 0], right를 누른다면 [1, 0]입니다. 머쓱이가 입력한 방향키의 배열 keyinput와 맵의 크기 board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캐릭터는 항상 [0,0]에서 시작할 때 키 입력이 모두 끝난 뒤에 캐릭터의 좌표 [x, y]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  • [0, 0]은 board의 정 중앙에 위치합니다. 예를 들어 board의 가로 크기가 9라면 캐릭터는 왼쪽으로 최대 [-4, 0]까지 오른쪽으로 최대 [4, 0]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제한 사항

  • board은 [가로 크기, 세로 크기] 형태로 주어집니다.
  • board의 가로 크기와 세로 크기는 홀수입니다.
  • board의 크기를 벗어난 방향키 입력은 무시합니다.
  • 0 ≤ keyinput의 길이 ≤ 50
  • 1 ≤ board[0] ≤ 99
  • 1 ≤ board[1] ≤ 99
  • keyinput은 항상 up, down, left, right만 주어집니다.

 

입출력 예

[keyinput], [board] result
["left", "right", "up", "right", "right"], [11, 11] [2, 1]
["down", "down", "down", "down", "down"], [7, 9] [0, -4]

 

첫번째 접근

: left, right, up, down의 갯수를 filter를 사용해 구한 후, 최종 위치를 계산해 반환하고자 하였다. 하지만 test 8번을 통과하지 못하여 최종 통과가 되지 않았다. 

function solution(keyinput, board) {
    let answer = new Array(2).fill(0)
    let maxWidth = (board[0] - 1) / 2
    let maxHeight = (board[1] - 1) / 2
    
    let up = keyinput.filter(el => el === 'up').length
    let down = keyinput.filter(el => el === 'down').length
    let left = keyinput.filter(el => el === 'left').length
    let right = keyinput.filter(el => el === 'right').length
    
    answer[0] = answer[0] + right - left
    answer[1] = answer[1] + up - down
    
    
    Math.abs(answer[0]) > maxWidth ? (answer[0] = answer[0] > 0 ? maxWidth : -maxWidth) : ""
    Math.abs(answer[1]) > maxHeight ? (answer[1] = answer[1] > 0 ? maxHeight : -maxHeight) : ""
    
    return answer;
}

 

 

두번째 접근

: 한 번에 동작시키려는 탓이었을까? 각 케이스를 순서대로 적용하고자 switch 구문을 이용해 보았다. 하지만 이 역시 test 8번을 통과하지 못했다....ㅜ

function solution(keyinput, board) {
    let answer = new Array(2).fill(0)
    let maxWidth = (board[0] - 1) / 2
    let maxHeight = (board[1] - 1) / 2
    
    for(el of keyinput) {
        switch(el) {
            case 'left':
                Math.abs(answer[0]) === maxWidth ? "" : answer[0]--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'right':
                Math.abs(answer[0]) === maxWidth ? "" : answer[0]++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'up':
                Math.abs(answer[1]) === maxHeight ? "" : answer[1]++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'down':
                Math.abs(answer[1]) === maxHeight ? "" : answer[1]--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}
    }
    
    return answer;
}

 

세번째 접근

무엇이 문제일까... 질문하기 페이지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. 생각해보니 Math.abs()를 사용하여 문제를 풀려고 했기 때문에 풀이에 허점이 있었다. board가 [5, 5]인 경우에서 좌표가 (-2, 0)일때 'right'가 들어왔다고 생각해보자. 그럼 -2의 절대값은 2이므로 이는 MaxWidth가 되어 좌표는 변화없다. 이 부분이 문제였고 해당 부분을 보완해 코드를 수정하였다. 

function solution(keyinput, board) {
    let answer = new Array(2).fill(0)
    let maxWidth = (board[0] - 1) / 2
    let maxHeight = (board[1] - 1) / 2
    
    for(el of keyinput) {
        switch(el) {
            case 'left':
                answer[0] === -maxWidth ? "" : answer[0]--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'right':
                answer[0] === maxWidth ? "" : answer[0]++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'up':
                answer[1] === maxHeight ? "" : answer[1]++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'down':
                answer[1] === -maxHeight ? "" : answer[1]--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}
    }
    
    return answer;
}

 

 

 

 

solution

function solution(keyinput, board) {
    let key = {"right" : [1,0], "up" : [0,1], "down" : [0,-1], "left" : [-1,0]};


    let rslt = keyinput.map(v => key[v]).reduce((a,c) => { 
   		 //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
        if (Math.abs(a[0] + c[0]) > board[0]/2 || Math.abs(a[1] + c[1]) > board[1]/2) 
            return [a[0],a[1]] ; 
		
        //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경우
        return [a[0] + c[0], a[1] + c[1]];}
    , [0,0])


    return rslt;
}

// 객체를 사용해서 문제를 푸는 것에 더 익숙해져야겠다.

728x90
반응형